풀과 채소가 <씨>가 있느냐? 아니냐? 즉 하나님의 말씀의 교훈과 계시가 그 안에 있느냐 아니냐로 구분할 수 있다면, 채소와 과목(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의 차이는 일년생인가? 아닌가? 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사람이 씨 있는 채소와 과목의 열매를 먹는다는 것은 마태복음 4장 4절의 말씀과 같이 "하나님의 입으로 부터 나오는 말씀"으로 사람이 산다는 것과 연결되어 있다. 성경에서 씨는 내내 하나님의 말씀으로, 또한 하나님은 농부로 비유되는 것이 같은 맥락이다.

 

사람이 가지고 있는 자아 정체성에 대한 갈증은 상상을 초월하는 것이다. 그 갈증을 해갈하기 위하여 과학은 우주를 연구하고, 미생물의 세계도 연구한다. 아직은 큰 성과가 없어 보이는 이런 연구들의 근원은 다 사람의 기원을 알기 위한 애절한 노력이다. 기원을 알기 원한다는 것은 존재 목적을 알기 원한다는 것이다.

 

그런 간절한 해갈을 바닷물과 같은 세상의 과학이나 문화에서 찾지 않고, 궁창 위의 물인 하나님의 말씀에서 찾는 사람들은 바닷속에 있지 않고, 하나님의 명을 좇아서 뭍이 드러남과 같이 바다 수면 위로 나오게 된다. 이것을 성경은 <세례>라고 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사람의 정체성에 대한 갈증은 세상에서 찾을 수 없다>라는 고백을 하는 사람인 것이다. 그 사람은 씨 있는 채소를 낸다. 사람이 무엇을 먹어야 하는지를 알기 때문이다.

 

그리고 땅이 내는 것 중에 채소가 있는가 하면 또한 과목이 있다. 일년 농사를 지어 또 씨를 뿌리는 것에서 부터 시작하는 채소가 있는가 하면, 한번 씨를 뿌려 나무가 되면 시절을 좇아 과실을 맺는 나무가 있고, 그 열매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신앙이 자라게 되면 그 안에서 지속적으로 씨를 가진 열매, 즉 다시 다른 땅(사람)에 심겨져서 다시 같은 과실을 맺을 수 있는 열매를 낼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시편 1편에서 복 있는 사람은 <시절을 좇아 과실을 맺는>것과 같다고 했다. 또한 예수님께서는 요한복음 4장에서 수가성 여인을 만났을 때에, 예수님이 주는 생수를 마시는 자는 그 배에서 생수가 흘러 넘칠 것이라 하셨다. 즉 자기 안에서 끊임 없이 하나님의 말씀, 씨 있고 열매 있는 말씀을 맺을 수 있는 과실의 나무를 낼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다. 바로 이런 사람을 두고 창세기 1장의 셋째 날에서 <씨 있는 열매 맺는 나무>라고 하시고, 바다에서 드러난 땅과 같이 세상에서 사람의 정체성을 찾을 수 없다는 세례를 받은 사람이 그런 나무를 낼 수 있다는 말씀을 하고 계신 것이다. 그리고 이런 과정을 거쳐낸 사람이라야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한 인격체가 된다는 것을 천지창조의 과정을 통하여 말씀하고 계신 것이다.

 

 

 

 

하나님의 대한 인식이 있게 되는 것이 태초요 빛이 비치는 것이고, 빛 아래서 어두웠을 때 알지 못했던 것이 하나씩 알아가면서 인간 정체성에 대한 갈증의 해갈하는 것은 궁창 위의 물임을 알게 되고, 그것은 또한 사람이 바다와 같은 세상의 것으로는 자기 정체성을 회복할 수 없다는 세례를 받은 사람이 표현 하는 것에는 사람이기에 풀과 같이 그냥 표현되어지는 것도 있지만, 하나님의 말씀인 씨가 든 채소와 같은 말을 남겨 (하나님의)사람이 먹을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신앙이 자람에 따라 다른 사람 안에서 계속 씨 있는 과실을 맺게 하는 나무의 씨와 같은 말씀을 내어 놓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셋째 날의 창조의 과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