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의 수련원에서 몇 사람이 해물탕을 먹게 되었다. 늘 그렇게 식사를 하고 나면 설거지를 많이 하는 한 사람이 식탁의 크기에 맞는 해물의 껍질을 담을 그릇을 가져왔는데 사람 수에 비하면 생각보다 그릇이 작았다. 그것을 본 어떤 이들은 속삭였다.
‘아니 저 작은 그릇을 어디에 쓰려고 저걸 가져온 거지? 설거지 하기 귀찮아서 그런가? 분명히 더 큰 그릇을 새로 가져올 거야.’라고.
그리고 얼마가지 않아서 정말로 껍질 담는 그릇은 다 차 버렸다. 그러자 사람들은 눈치를 보고 있었다. 그 순간 처음 그릇을 가져왔던 사람이 사람들이 해물을 먹고 발라낸 조개껍질과 음식물 찌거기를 담은 그릇을 들고 가서 비우고 다시 가져왔고, 그렇게 사람들이 해물탕을 다 먹을 때까지 그 사람이 몇 번 수고를 하므로 다들 즐겁게 식사를 마칠 수 있었다.
‘조지 클루니’라는 배우가 영화 관련 학과 학생들과 대화에서 이런 말을 했다.
“아는 것 만으로는 세상을 바꿀 수 없다. 사람들이 킬링필드와 같은 사건을 몰라서 다시 그런 사건들이 생기는 것이 아니다.” 라고.
쌓이는 조개껍질을 치워야 한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그 식탁에 없었을 것이다. 더 나아가서 어떻게 치워야 잘 치우는 것인지도 다 알 것이다. 하지만 어떻게 치우나 살피거나,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 것이라는 지식은 결정적으로 조개껍질을 치우지 못한다. 누가 되었든 최소한 한 사람의 행함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바로 여기에 십자가가 있다. 누군가가 몸을 사용해서 그것을 치우는 일에 몸을 소비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게 몸을 사용하는 것, 그것이 십자가를 지는 삶이다. 십자가는 거창한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 조개껍질 치우는 것이 쉬울 것 같은가? 사람은 그 마음에 싫으면 평양 감사도 싫어한다. 남자가 집안 일을 하지 않는 것은 힘이 없어서가 아니다. 마음이 없어서 그런 것이다. 그것처럼 조개껍질 비우는 것이 뭐 힘들겠는가? 단지 그렇게 하는 마음을 먹는 것이 힘든 것이다.
우리는 십자가 지는 것을 순교하는 것과 같은 대단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십자가를 지는 일은 우리 생활 순간순간에 늘 있다. 넘쳐날 정도로. 그 순간순간에 몸 한 번 더 굴려 수고하는 것, 그것이 십자가를 지는 것이다. 단, 그렇게 몸을 더 소비하는 이유가 성경이 시켜서가 아니라, 자기 안에 본성으로 있어 하지 않으려 해도 하게 되는 본성으로 인해서 그렇게 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렇듯 십자가는 늘 우리 가까이에서 우리의 육신 가진 인생을 기다리고 있다.
(Translation by Google)
(The transparent Cross) Shell
A few people at the training center of the church were eating seafood. After eating so often, a person who had a lot of dishes brought a bowl of shells of seafood to fit the size of the table. Some who saw it whispered.
'No. Where did you bring that little bowl to use? Is it annoying to do the dishes? I'm sure we'll get a bigger bowl. '
And after a while, I really kicked all the shells. Then people were noticing. At that moment, the person who brought the first bowl brought the shells of the shellfish and the food wastes that the people ate the seafood and took them out, emptyed them, brought them back, and so many times until the people ate all the seafood, I was able to finish the meal happily.
The actor George Clooney said this in a conversation with film-related students.
"Knowing can not change the world. People do not know about events like killing fields, so they do not happen again. "
People who did not know that they had to remove the clamshell that had been piled up would not have been there. You will also know how to get rid of it. But knowing how to clean it or how to do it does not decisively remove the shell. Whoever is, at least one act must be done.
Right here is the cross. Someone has to spend their time using the body and removing it. To use the body so that it is a life of crucifixion. The cross is not tremendous. Is it easy to clean shells? If people do not like it, they hate Pyongyang. It is not because the man does not have the power to work the house. It is because there is no mind. What would be harder to empty shells like that? It is hard to just do that.
We think that crossing is such a great thing as martyrdom. However, crossing is always in the moment of our life. Enough to overflow. At that moment, the body rolls one more time to labor, it will take the cross. However, the reason why we spend so much more is that not because of the Bible, but because of the nature of being in nature and not in it. As such, the cross always awaits our physical life near us.
'김집사의 뜰 > 복음 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옷을 찢고 (2) | 2018.06.26 |
---|---|
유대 땅 베들레헴에 오신 예수 (0) | 2017.12.25 |
우리는 어떤 교회에 다녀야 할까? (1) | 2017.11.18 |
십자가의 도와 사과(赦過) (0) | 2017.10.27 |
믿음의 본질은 정체성을 믿는 것이다. (0) | 2017.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