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아스는 친족이 룻에 대한 책임을 양도함에 따라 룻의 기업을 무를 사람이 되었고 유대인들의 풍습에 따라 이를 장로들 앞에서 확증한 후 룻과 결혼을 하게 된다. 이어 룻은 하나님께서 잉태케 하시므로 아들을 낳게 된다. 그 아들이 바로 다윗의 할아버지인 오벳이다.
그런데 여기서 이 일을 찬양한 이스라엘의 여인들이 이르기를 그 아들은 시모인 나오미가 아들을 낳았다면서 그 아들의 이름을 오벳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이를 두고 사람들은 오벳이 누구의 아들인지를 논한다. 또 재정적인 후원자인지 무슨 관계인지를 연구한다.(인터넷에서 오벳을 검색하면 이런 의견들이 많다.) 성경을 정말로 모르기 때문에 하는 생각이다.
룻기의 시작은 모압으로 떠난 나오미의 남편 이야기에서 시작한다. 모압이란 자신의 힘으로 하나님의 일을 해결하겠다는 족속이다. 이스라엘에 흉년이 들었기 때문에 하나님의 은혜가 없으니 그것을 자신의 힘으로 해결하겠다고 떠난 사람이 나오미의 남편과 아들이었다. 주일 예배시간에 하나님께서 경영하시는 세상이 엉망임을 염려하는 사람들이 바로 나오미의 남편 엘리멜렉이고 모압 사람들이다.
엘리멜렉의 아들들이 모압 땅의 여인들로 아내를 맞았다는 것은 세상의 형식과 방법을 통하여 하나님의 일을 이루겠다는 생각이 나타난 것이다. 교회에서 세상에서 좋다고 여기는 가치관과 방법과 도구를 가져와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겠다고 생각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수십억 파이프 오르간과 엄청난 돈으로 지은 교회 건물이 하나님께 영광이 된다고 여기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세상의 방식으로 하나님의 기업을 잇고자 한 아들들은 물론 그것을 주도한 아비 엘리멜렉은 다 죽었다. 오늘날 교회의 시도들은 하나님의 아들을 낳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 상황에서 나오미는 자기 고향 베들레헴에 하나님의 은혜가 임했다는 소식을 듣게 되고 그것을 좇아 과부의 몸으로 하나님의 은혜를 찾아 돌아온 것이다. 회개한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본 이방 여인인 며느리 룻이 그 시모의 마음을 끝까지 좇아서 함께 온 것이다. 마치 기생 라합이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의 백성이라 믿고 자기 창으로 그들 오나 살피고 왔을 때 정탐꾼을 숨긴 것도 같은 이유다. 이스라엘의 여인들이 나오미와 룻에게 라합의 일로 축복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따라서 룻이 보아스와 결혼하여 낳은 아들은 나오미의 남편 엘리멜렉의 타락에서부터 하나님을 사모하는 시모를 보고 좇아온 이방 여인 룻의 마음까지 그 모든 과정을 기뻐하시고 의롭게 여기신 하나님의 마음이 오벳이라는 남자 아이라는 형식으로 나타난 것이다. 즉 하나님의 마음이 육신이 된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오벳의 시작은 나오미가 자기 남편이 스스로의 힘으로 하나님의 의를 이루어보겠다고 하나님 백성의 땅에서 떠난 것을 돌이키면서 시작되어 그것을 보고 하나님을 믿은 룻의 마음이 형식이 된 존재이니 나오미에게 낳은 아들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룻의 아들을 두고 왜 남편 보아스에게 낳은 것이 아니라 시모인 나오미에게 낳았다고 했는지를 궁굼해 하고 그것을 연구하는 것이 신학인양 부산을 떠는 것은 자신들의 신앙이 형식에 매몰되어 있기 때문이지 성경이 어렵게 쓰였거나 하나님께서 고약하게 꼬아 놓았기 때문이 아니다. 자신들의 신앙이 형식이라는 것을 통하여 하나님의 영광을 구하려고 세상에서 이긴 자가 되면 하나님께 영광이 된다는 가치관 안에 있으니 엘리멜렉이 모압으로 간 것에서부터 그 의미를 단지 육신의 흉년으로 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룻기를 착한 며느리의 효심이 하나님의 은혜를 얻은 것이라는 초등학문적인 사고에 빠져있기 때문일 뿐이다.
이 룻기는 하나님의 의는 없고 삶의 형식만 남은 과부와 같은 인생들이 하나님 앞에서 어떻게 하나님의 아들이 되어 가는지를 말씀하시는 책이다. 나오미는 오늘날로 보면 하나님의 믿는 형식은 있으나 하나님의 의는 없는 사람들이다. 쉽게 말하면 교회에 다니는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을지 모른다. 룻은 처음에는 그마저도 없는 사람들이다. 이방 여인이라는 것이 그것을 설명한다.
룻이 나오미를 좇아 베들레헴으로 함께 왔다는 것은 하나님을 믿는 형식만 가진 사람이 자신에게 이스라엘 사람이라는 형식만 있고 하나님의 의가 없음을 회복하고자 할 때 그것을 보고 함께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긴 하나님을 믿는 형식마저 없는 사람, 흔히들 교회에 다니지 않는 세상 사람이 와서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삶으로 거듭나는 것을 설명하시는 것이다.
따라서 아주 쉽게 룻이 나오미에게 아들을 낳았다고 하는 것은 하나님을 믿는 형식은 있지만 자기 삶에 하나님의 온전한 의가 없음을 알고 그것을 회복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진 사람이 하나님을 찾고자 하면 그것을 보고 이방 여인과 같은 세상 사람이 와서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흔히들 말하는 전도에 비할 수도 있다. 그러면 그렇게 그리스도로 거듭난 삶을 사는 사람의 삶은 나오미와 같이 하나님 의가 없음을 돌이켜 그것을 구하는 사람에게도 아들과 같은 존재가 된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이다.
'평교인의 성경 보기 > 룻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룻기의 주제와 교훈 (2) | 2019.11.27 |
---|---|
(룻기 4:1-6) 보아스와 그보다 우선하는 친족 (0) | 2019.11.23 |
(룻기 3:6-18) 타작마당의 보아스 (0) | 2019.11.20 |
(룻기 3:6-18) 정숙한 여인 룻의 기업 (0) | 2019.11.19 |
(룻기 3:1-5) 룻의 안식 (2) | 2019.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