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께서 성전에서 장사하는 이들의 상을 엎고 책망하신 일은 유대인들, 특히 대제사장과 서기관, 장로 같은 종교 지도자들에겐 그냥 넘어갈 수 있는 일이 아니었다. 사람들이 성전에서 제물을 사고파는 명분을 그들이 주었기 때문이다. 정치와 종교가 분리되지 않은 시절일 뿐만 아니라, 제사의 모든 규례는 그들이 해석했기 때문이다. 예수님께 와서 권세를 운운하는 이유다.
예수님께서는 반문하셨다. 세례 요한의 세례는 어디서 온 것인지를. 그러자 그들은 백성들이 무서워 예수님께 대답하지 않겠노라 거절한다. 그러자 예수님께서도 '그럼, 나도 나의 권세가 어디서 왔는지 말하지 않겠다'라고 하시므로 무슨 권세로 이렇게(성전의 상을 엎는) 하는지에 대해 답하지 않겠다고 하셨다.
하지만 예수님께선 이후에 포도원 비유로 답을 하신다. 타국으로 간 포도원 주인 비유를 했을 때 대제사장과 서기관들은 자기 이야기란 걸 찰떡같이 알아들었다는 데서 그들이 예수님의 말씀을 누구보다 잘 알아들었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대제사장 일당이 세례 요한의 권세에 대해 답하지 않은 이유는, 하늘로부터 온 권세라고 하면 '왜 따르지 않느냐?'고 할 것이고, 사람에게서 온 것이라고 하기엔 백성들이 세례 요한을 선지자로 여기고 있음을 염려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선지자는 하늘의 권세로 기름 부음을 받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대제사장 무리가 답을 할 수 없었던 내면의 이유는 그들이 예수님께 이 문제를 항의할 수밖에 없던 이유와 같다. 앞서 설명한 대로 유월절이면 먼 곳 살고 있더라도 와서 제사를 지내야 하고, 번제에 드리는 제물은 흠이 없어야 하는데, 먼 곳에서 제물이 될 짐승을 데리고 오다 보면 그걸 보장할 수 없으니 성전에 와서 제물을 사서라도 제물을 드려도 된다는 명분을 그들이 백성들에게 주었기 때문이다.
예수님은 어떻게든 제사는 지내야 한다는 형식에 매몰된 그들의 생각, 그들의 권세는 무성한 무화과나무 같은 신앙이라 그 안에는 그리스도로 거듭난 사람이 먹을 게 없다고 하신 것이다. 잎만 무성한 무화과처럼 행위만 풍성한 자기들 모습으로 백성들에게 유월절 규례에 대한 명분을 준 것이다. 그러나 자가 발전한 그들의 권세는 늘 예수님 책망의 대상이었다. 길거리에서 기도하는 바리새인은 누룩이라 하셨고, 그들의 신앙을 아예 회칠한 모둠이라 일갈하기도 하셨다.
대제사장 무리가 정의한 권세는 어떻게든 율법을 지킬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건 하나님의 법을 지키도록 하는 것이므로 하나님이 주신 권세라고 스스로 치장했다. 하지만 그들의 권세와 신앙은 그리스도의 생명으로 사는 사람의 삶을 생명 없이 노력으로 지키려고 하니 행위라는 잎만 무성했고, 겉은 아름답게 칠해 놓은 무덤 같은 신앙일 뿐이다.
여기서는 대제사장 무리가 단순히 답을 하지 않는 정도로 피해 가려 하지만 이어지는 포도원 비유에서 그들은 예수님의 답을 듣는다. 다른 사람들은 알아듣지 못했지만, 그들은 백퍼센트 알아듣는다. 그들이 정의하고 있는 권세는 포도원 주인의 것을 약탈한 것이란 것을. 그래서 그들은 예수님을 잡아 죽이려고 한 것이다. 유대인의 나무인 무화과가 잎만 풍성할 뿐 열매가 없어 말라버린 것처럼, 포도원 주인의 권세를 갈취한 종인 자신들이 심판받을 것이란 말씀임을 아주 정확히 알아들었다. 예수님께서 정말 자세히 답변해 주신 것이다.
'평교인의 성경 보기 > 마가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가복음 12:13-17)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0) | 2023.03.25 |
---|---|
(마가복음 12:1-12) 포도원 농부의 비유 (0) | 2023.03.22 |
(마가복음 11:20-25) 기도하는 성전, 모든 것을 이루는 기도 (0) | 2023.03.16 |
(마가복음 11:15-25) 열매 없는 무화과, 장사하는 성전 (0) | 2023.03.14 |
(마가복음 11:12-14) 무화과나무를 저주하심 (0) | 2023.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