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는 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 (출 20:4)

 

십계명의 두 번째 계명은 '우상을 만들지 말라'. 사람에게 신은 사람이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의 능력 이상을 가진 존재다. 그리고 우상은 그 바람의 형상이다. 결국 신과 우상은 사람이 가진 자기 욕망이란 내용과 그 내용의 형상이다. 이는 사람이 육신의 삶이 겪는 문제를 자기에게 유리하게 해결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우상은 사람이 자기 문제를 해결하는 존재로 만든 신이란 내용의 형상

 

이에 반해 하나님은 그 방향이 다르다. 하나님은 하나님이 원하는 것을 사람을 통해 구현하시는 존재다. 사람은 그런 하나님이 창조한 존재인데, 그 방향을 거슬러 사람이 원하는 걸 이루기 위한 신을 두지 말라고 하셨고, 그 신을 만드는 마음을 표현하는 형상을 만들지 말라는 게 십계명의 첫 번째, 두 번째 계명이다. 이는 하나님께서 두 번째 계명을 말씀하실 때 <너를 위하여>라는 부연을 다신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곧 사람이 자기를 위하여 우상을 만든다는 건, 사람이 정한 기준에서 벗어난 문제를 해결하는 존재로서 만든 신이란 내용을 형식 가진 존재로 만든다는 의미다. 그리고 이 형상은 비단 물리적 형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특히 사람이 만든 가치관, 돈이나 명예가 문제를 해결한다는 가치관이므로 형이상학적인 개념이나 학문, 철학도 사람이 만든 우상이다.

 

결국 십계명의 근간은 하나님과 사람의 관계 설정이다. 물론 그건 성경의 기본 뼈대다. 우리가 하나님을 믿는 건 우리 문제를 해결하는 존재로서 하나님을 믿는 게 아니라, 하나님이 원하는 걸 사람이 순종하는 것이다. 그것이 하나님을 믿는 것이다. 그래서 믿음은 수동적이고, 순종이 근간이다.

 

결국 이런 문제, 십계명으로 계몽되어야 하는 문제는 사람이 가진 생각이다. 십계명을 주실 때 '너는'이라고 하셨는데, ''는 바로 애굽의 종살이에서 벗어난 사람이고, 너라는 존재를 성립하게 하는 ''는 애굽의 가치관에서 사람을 구원하시는 여호와 하나님이다. 따라서 사람이 애굽의 기준으로 삶을 재단하고, 그 기준으로 볼 때 미흡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순간, 여호와 하나님이 아닌 다른 신이 생기게 되고, 그 신에 대한 믿음을 보증하려고 형상화할면 그게 우상이다.

 

우리가 잘 아는 금송아지 사건이 전형적이다. 여호와께 희생을 드리는 존재가 되려고 애굽을 떠나와서는 광야에서 죽을지 모른다는 문제 해결을 시도한 결과 금송아지를 만든 것이다. 송아지가 문제가 아니라 육신이 광야에서 죽으면 안 된다는 가치관이 금으로 형상을 만들 정도로 중요한 문제로 정의한 까닭이다. 이 모든 과정은 하나님의 뜻이 땅에 이루어지는 방향이 아니라 사람이 정한 사람의 문제를 신이 해결하는 방향이다. 이른 잘못된 방향이 여호와 하나님 아닌 다른 신을 사람이 만들고, 이를 증명하려 형상으로 만들어 우상이 된다.

 

육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게 신이란 생각을 가졌다면 이미 우상을 만드는 사람이다.

 

우상은 흔히들 생각하는 불상이나 조각상 같은 게 본질이 아니다. 결국 본질은 우상이 필요한 이유, 우상을 만들려는 사람의 마음이다. 행동이야 일시적으로 참을 수 있지만, 우상을 만들려는 마음, 곧 육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게 신의 역할이라 믿는 마음이 바뀌지 않는다면 시간과 상황의 문제일 뿐 언제나 우상을 만드는 사람이다. 음욕을 품은 자는 간음한 자라는 말씀의 논리를 적용하면 육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신을 기대하는 마음을 가진 사람은 모두 우상을 만드는 사람이다.

 

따라서 설사 사람이 하나님을 믿는다고 해도 그가 믿는 하나님의 정체성이 뭔가, 하나님의 어떤 걸 믿느냐가 중요하다. 하나님을 육신을 문제를 해결하는 신의 범주에서 믿는다면 제아무리 하나님이라 부르고, 신학이 설정한 방식에 따른 경건의 형식으로 하나님을 믿는다고 해도 그건 단지 우상일 뿐이다. 이게 사실은 모든 우상보다 더 심각한 우상이다. 실체는 우상인데, 자신은 하나님이라고 착각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상은 무엇을 본질로, 또 문제로 보느냐의 문제

 

여호와 하나님 외에 다른 신을 둔다는 건 결국 무엇을 본질로 또 문제로 보느냐의 문제다. 육신의 삶을 본질로 보기에 그 본질에 발생한 차질을 문제로 보고 이것을 해결하는 게 신이라는 방향성과 믿음을 가지고 믿고 의지하는 모든 대상은 다른 신이고, 그 신을 형상화하면 모든 게 우상이다. 자기 육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로 믿는다면 강대상 벽면에 걸려 있어도, 목에 걸고 있어도 모두 우상이다. 이게 인정되지 않는 사람이 믿는 하나님도 결국 우상이다. 나를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