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주에는 분명히 지금의 우리가 가진 지식으로 다 이해하기 힘든 탑승객들이 탑승했다. 하지만 그것을 이해하는 것이 믿음이 아니라는 것이다. 방주는 하나님께서 세상의 죄악을 다 쓸어버리시고자 홍수를 일으키실 때, 그 심판에서 살아 남아야 하는 존재들을 태우는 배였다.
그러므로 방주의 탑승객은 죄악이 만연한 세상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존재가 누구인가가 중요한 문제이다. 왜냐하면 그들이 바로 방주의 탑승 대상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또한 방주가 <교회>라는 이유이기도 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방주에 탑승한다는 것은 교회의 구성이 되는 자격이라는 의미이고, 또한 그 탑승자들의 정체성이 방주의 규격이고 교회의 정체성이라는 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방주에 탑승한 탑승객들에게 있어서 논제가 될 수 있는 것은 단연 <부정한 짐승>이다. 타락한 세상에서 살려야 하는 것을 태운 방주라고 할 때 정한 짐승을 태우는 것은 너무 당연한 것이지만, 부정한 짐승을 태우는 것은 선뜻 이해하기 쉬운 일은 아니다.
게다가 처음에는 암수 한쌍식이라고 하셨다가 다음에는 정한 짐승은 7쌍씩, 부정한 짐승은 2쌍씩이라고 명시하시지만 뭐가 정한 것이고, 뭐가 부정한 것인지에 대하여는 알 수 없다. 쉽게 생각하면 노아의 방주 이전에 부정하다고 생각되는 짐승은 뱀 정도가 유일하다.
돼지와 같이 굽과 되새김질과 같은 것을 기준으로 정하고 부정한 짐승을 구분하는 것은 모세시대에 하나님께서 정하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노아 시절에 어떤 짐승이 정하고 어떤 짐승이 부정한지를 가늠할 수 있는 단서가 없다고 봐야 한다.(물론 신학적 고찰은 있겠으나, 필자는 신학자가 아니므로 그것까지 미치지는 못한다)
오히려 이 말씀은 숫자가 가진 수리적인 개념이 아니라 의미적 개념으로 볼 수 있다. 7은 일곱개라는 의미기도 하겠지만 성경에서는 원래 정하고 온전한 의미를 숫자로 표현할 때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정한 짐승은 7쌍이라는 표현은 정하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이라 생각된다. 1
또한 부정한 짐승은 두쌍씩이라고 했는데 성경에서 2라는 숫자는 기본적으로 부정한 숫자가 아니다. 흔히 아는 부정한 수는 6으로 우리는 알고 있다. 2에 대한 또 다른 성경 말씀은 증거에 관한 것이다. 즉 율법에서 증인은 2명이 되어야 한다고 되어 있다는 것이다.(창 21:27, 신 17:6, 요 8:17)
즉 2는 어떤 것에 대한 증거, 보증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는데, 어떤 짐승인지는 모르지만 부정한 짐승을 2쌍으로 태우라고 하신 것은 교회 안에 부정한 것에 대한 의미를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한 말씀이 아닌가 생각된다.
다시 말해서 부정한 것에 대하여 서로 증거가 된다는 의미인 것이다. 즉 너나 나나 다 부정한 존재라는 것이 증거가 되는 곳이 교회라는 의미라고 볼 수 있다. 즉 이는 교회가 어떤 사람을 부정하다고 규정하는 곳이 아니라, 서로가 원래 하나님 앞에서 부정한 존재라는 것을 인정하는 곳이고, 그런 사람이 바로 방주에 탈 수 있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지금 노아 시대에 하나님께서 땅의 모든 죄악을 쓸어 버리시기 위하여 홍수가 일어난 마당에 하나님께서 부정하게 여기시는 것이 홍수의 피난처인 방주에 탄다는 것은 사실 말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부정하다는 것을 서로 인정하고 자신이 부정하다는 증명을 받은 사람은 탈 수 있는 피난처가 바로 방주고 교회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부정하다는 것을 증명 받은 존재는 방주 곧 피난처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문둥병에 관한 규례에서도 오히려 온 몸이 문둥병으로 희어진 사람은 정하다는 판단을 받는 것과 비슷하다. 즉 교회라는 곳은 자신이 부정한 사람이라는 것을 증거로 공인 받은 사람이 들어가는 곳이라는 것이다.
또한 교회는 정한 것과 부정한 것이 공존하는 곳이라는 것도 아주 중요한 말씀이다. 심판을 받는 세상의 피난처인 방주 안에 정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이 함께 타는 곳이라는 것이다. 원래부터 정한 것만 타는 것도 아니고, 또한 부정함을 공인받고 고백한 사람만 타는 곳도 아니라는 것이다.
방주는 이렇듯 정한 것과 부정한 것이 함께 타는 곳이라는 것이다. 그것이 교회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교회는 하나님 앞에 순전한 신부인데, 그 신부가 순전한 것은 정한 것과 부정한 것이 공존할 수 있어서 순전한 것이라는 말씀인 것이다.
이것은 마치 선악과와 같다. 선악과도 선한 것과 악한 것이 함께 있는 과실이다. 그런데 아담이 선악과를 먹으니까 자신을 부끄러워했다는 것은 선과 악을 분리했다는 것이다. 즉 자신이 부끄러워하는 그 육신을 인정하지 않아서 부끄러워했고 감추려 했다는 것이다. 2
이것은 방주에는 악한 것은 없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과 같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방주 안에 부정한 것도 두 쌍씩 태우라고 하셨다. 그것이 교회라는 것이다. 그것은 바로 선악과를 먹고 어떤 것을 선과 악으로 나누어 어떤 것은 부끄럽고 버릴 것으로 여기는 것이 교회의 모습이 아니라, 사람의 육신이 부정하고 연약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증거를 받았을 때 구원을 받을 수 있는 곳이 교회라는 말씀을 하시는 것이다.
(계속)
'평교인의 성경 보기 > 창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아의 홍수 (13) - 의인과 교회 (0) | 2014.07.14 |
---|---|
노아의 홍수 (12) - 방주와 선악과 (0) | 2014.07.08 |
노아의 홍수 (10) - 방주의 탑승객 (0) | 2014.07.07 |
노아의 홍수 (9) - 세상과 교회 (0) | 2014.07.06 |
노아의 홍수 (8) - 방주, 규빗, 홍수 그리고 교회 (0) | 2014.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