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빌레몬서에 나오는 내용은 21세기를 사는 사람들에게는 실감이 나지 않는 이야기일 가능성이 높다. 물론 그 내용이 감동적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나의 이야기로 받아들여 지기에는 체감 온도가 많이 다르다는 점을 간과할 수는 없다. 물론 이 말씀을 통하여 보여주신 그리스도의 중보가 자신의 이야기로 들리기만 한다면 체감 온도와는 무관하게 너무나 은혜로운 말씀으로 느껴지겠지만 말이다.

 

이 시대는 지중해 연안은 로마가 다 점령하고 있었던 시대이고, 그 시대의 종은 주인이 아무 이유 없이 죽여도 큰 일이 아니었고, 주인의 유희를 위하여 종들은 어떤 형태의 성적인 수치도 감당해야 했고, 노예를 사고 팔 때는 남자든 여자든 벌거벗겨진 상태로 거래가 이루어지기도 하던 시대이다. 그런 시대의 종이 주인의 재물을 훔쳐서 달아났다가 이렇게 사람들에게 노출되었다면 그것은 뭐 재론의 여지 없이 죽은 목숨이라고 봐야 하는 것이다.

 

 

그렇듯 죽은 것이나 다름 없는 오네시모가 당시 로마의 시민권을 가진 바울에게 형제라 칭함을 받고, 또 자기가 배신한 주인인 빌레몬이 다시 자기를 받아 주고, 그러한 과정에서 바울이 죽어도 아무 문제 없는 오네시모를 위하여 빌레몬에게 손해를 갚아 주겠다고 하는 것은 단순한 감동 스토리가 아니다. 이것은 진정한 기적 중의 기적이고 진정한 복음의 능력이며, 우리가 육신 가운데 거하며 살아가는 것이 왜 하나님께 영광이 되는 것인가를 너무나 은혜롭게 설명하는 모습인 것이다.

 

이 장면에서 우리는 우리가 가진 육신이 어떻게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여 하나님께 영광이 되는 것인지를 볼 수 있다. 이 육신의 삶 안에서 보면 지금 이 오네시모를 대해가는 빌레몬과 바울의 모습은 정말로 있을 수 없는 일인 것이다. 신분의 차이가 없는 지금 세상도 돈 떼어 먹고 달아난 사람에 대하여 생각하는 것이 남다르고 분노하는 것이 일상인데, 그 옛날에 종이 돈을 들고 달아났는데 그것을 용서한다는 것은 진정으로 기적에 가까운 일이다.

 

그런데 왜 그것이 기적인가? 지금을 사는 사람들도 오네시모의 일을 보면 체감 온도는 낮아도 적어도 ‘대단하다’는 느낌을 가지게 하는 것은 왜 그런가 하는 것이다. 그것은 바로 사람이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사실 하나님은 굳이 사람이 아니라도 그러한 기적을 일으키시기에 부족함이 전혀 없으신 분이시다. 하나님께는 천하에 둘도 없는 원수라도 상관없다. 그것을 용서하고 말고 하실 분도 아니시다. 하지만 하나님 안에는 그러한 마음이 있으신데, 그것을 표현해줄 존재가 필요하셨던 것이다. 그래서 사람을 만드신 것이다.

 

육신을 가졌기 때문에 하기 어려운 일들이 있다. 그것은 육신의 한계를 극복하는 세계에 관한 것이 아니라, 육신이 어떠한 것을 옳다고 여기는 것이 있고, 그것에 메여서 구속 받는 것이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지금의 모든 사람들은 돈이라는 것 앞에 다 메여 있다. 돈이 악하거나 유익하다거나 하는 문제가 아니다. 이미 사회 안에 있다는 것 만으로도 돈에 대하여 구속 받은 존재라는 것이다. 그렇게 사람들이 돈에 메이게 된 것은 사람들이 돈에 가치를 부여했기 때문인 것이다.

 

즉 사람의 가치가 돈에 있지 않은데, 자신의 모든 수고와 성과를 대변하는 대명사가 바로 돈이기 때문에 그 돈이라는 것이 자기의 모은 노력을 표현하고 결과로 나타나고 있는 세계이다 보니 돈이라는 것 자체의 의미 이상으로 자신의 삶을 그것에 투영시키고 그것에서 의미를 찾으려고 하기 때문에 돈에 구속된 삶을 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돈은 또 사회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를 너무 이젠 필수 중의 필수항목이기에 그것을 배척하고는 살 수 없다. 이는 마치 우리가 육신을 벗어나서 살 수 없는 것과 같은 것이다. 하지만 돈이라는 것이 내 삶의 성과를 대변하는 것이라는 것에 매여서 그것에 집착한다는 것은 삶의 목적이 자신의 삶의 성과 달성에 두고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사람들이 돈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은 자신의 삶에 자신이 의미를 부여했기 때문인 것이다.

 

이는 마치 오네시모가 자신의 신분에 대하여 자기가 의미를 부여하고 종이라는 자리를 스스로 떠난 것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이 스스로 자기의 삶에 가치를 부여하는 자리에 이른 것이다. 즉 사람이 하나님처럼 되려고 하는 현상인 것이다. 그것은 아담이 선악과를 먹었던 명분과 같은 것이고, 오네시모가 빌레몬을 떠난 명분과 같은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스스로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지으신 이에게 의미 부여를 맡기게 된다면 스스로 삶에 의미를 부여한 사람들과 같이 육신에 거한다는 것은 동일하지만 전혀 다른 삶을 살게 되는 것이다. 돈도 마찬가지다. 돈이라는 것이 사회 안에서 절대적인 요소이기는 하지만 그것에 나의 삶의 성과가 있다고 여기는 것이 아니라, 돈은 사회를 살아가는 하나의 도구와 방법으로 알게 되면 돈을 쓰는 용도가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