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색 성경) 성선설, 성악설

Category : 주제별 성경 보기/회색성경 Date : 2025. 4. 2. 05:49 Writer : 김홍덕

2013년경부터 본격적으로 쓴 블로그의 역대 최대 조회 글은 성선설과 성악설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이 주제에 많은 관심을 가진듯하다. 그러니까 하나님께서 사람을 선하고 죄 없이 창조하셨는데 사람이 타락한 것인지, 아니면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악한데 살면서 하나님을 만나 구원을 얻는 것인지가 궁금한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사람이 스스로 순종하여 하나님의 뜻대로 살기 원하신다는 걸 우리는 알아야 한다. 하나님은 로봇이나 아바타를 원하시지 않는다. 그러므로 뒤에 설명하겠지만, 하나님께서 여섯째 날 사람을 만드시고 보시기에 심히 좋았다고 하신 건 일면으로는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한 목적이 달성된 그리스도의 모습이고, 육신이라는 형상에 한정해서 보면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모습이기에 기뻐하셨다는 의미의 말씀이다.

 

그러면 이제 사람이 창조되었을 때 선악의 상태를 이야기해 보자. 이해를 위해 휴대전화를 가지고 설명하려 한다. 사람에게 창조주이자 주는 하나님이고, 휴대전화에 있어 창조주이자 주인은 사람이다.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겠다는 사람 창조 목적이 있듯, 스마트폰으로 발전한 휴대전화를 만들고 구매하는 사람의 목적은 통화하고, 인터넷 활용이다. 제조사는 그런 소비자의 목적을 염두에 두고 전화기를 만든다. 그렇게 설계하고, 제조한 다음에 엄격한 품질 검사를 시행한다. 그리고 설계 기준에 맞으면, 즉 소비자의 목적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출하한다. 여섯째 날 하나님이 감탄한 사람은 바로 이런 상태다.

 

하지만 아직 휴대전화는 개통되지 않았다. 소비자의 목적대로 사용되지 못하는 상태다. 이때는 아직 목적 안에 있는 상태가 아니다. 즉 자기 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목적 안에 있지 않다는 건 목적을 기준으로 보면 아직 죄의 상태다. 창세기 시작에 있는 '혼돈하는 땅'으로 표현된 사람의 상태 역시 여기에 해당한다. 하나님께서 세상 사람들이 죄 가운데 있다고 말씀하시는 건 이것으로 비유할 수 있다. 다만 사람은 스스로 이 상태를 지속할 수 있는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게 차이라면 차이다.

 

육신으로 창조되고, 태어난 인생은 개통되지 않은 휴대전화 같은 상태

 

창세기 2장에서는 다시 하나님께서 사람을 창조한 상세한 말씀이 나오는데, 여기서 중요한 건 코에 불어 넣으신 생기다. 즉 생령이 된 사람이라는 또 다른 존재가 나온다. 바로 하나님의 뜻이 생명이 된 사람이다. 휴대전화로 치면 주인이 정해지고 개통해서 목적대로 사용되는 상태라 할 수 있다. 이런 상태가 진정한 휴대전화이듯, 사람 역시 하나님이 원하시는 최종적 존재는 하나님의 의와 뜻이 생명 본성이 된 사람이다.

 

하나님 창조의 최종 목적은 바로 생령이 된 그리스도로 거듭난 사람

 

이런 사람을 성경은 그리스도(a Christ)라고 한다. 사람이 되어야 하는 이 모습의 표상이고 본이 예수 그리스도시고, 그 실체를 십자가에서 보이셨다. 놋뱀처럼 달리신 예수님의 십자가를 사람이 보고 자기가 어떤 존재가 되어야 하는지를 알게 하시는 게 하나님 구원의 계획이다. 이 계획은 하나님이 주신 자유로운 의지로 사람이 스스로 순종함으로 완성된다. 그런데 사람은 그걸 자기 인생을 주관할 수 있는 권한으로 생각한다. 이게 십계명에서 금한 도둑질이다.

 

그러므로 엄밀히 말해 사람은 날 때 선한 존재, 악한 존재가 결정되어 있지 않다. 선한 존재로 난다면 하나님께서 사람을 하나님 뜻만 수행하는 로봇 같은 존재로 창조하셨다는 게 되고, 그 상태에서 사람이 타락한다면 하나님은 무능한 신이 된다. 반대로 하나님께서 사람을 악한 상태로 창조하신 다음 갱생시키는 계획이라면 보시기에 심히 좋았다고 하신 말씀으로 미루어 하나님은 선하신 분이 될 수 없다는 오류에 빠진다.

 

창세기의 흐름도 그렇다. 1장에서는 하나님의 계획대로 자기가 하나님의 뜻에 순종할 수 있고, 그렇게 되었을 때 하나님의 계획을 온전하게 이룰 수 있는 존재로서 충분히 만족할 수 있게 창조하셨음을 말씀하시고, 2장에서는 그 사람이 하나님의 생기, 곧 말씀과 계획으로 생명이 되면 생령, 곧 하나님이 살았다고 하는 존재가 된다는 걸 말씀하셨다.

 

그리고 3장에서의 타락은 하나님이 주신 의지로 스스로 선악을 결정하는 사람의 모습을 설명하시고, 스스로 선악을 결정하지만 스스로 만족할 수 없고, 서로 죽이는 타락한 모습을 설명한다. 이는 주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작동하는 휴대전화와 같다. 그런 작동으로 가난한 사람에게 폰뱅킹으로 송금하는 게 선하지 않듯, 사람도 하나님이 창조한 목적을 벗어나 사회적으로 선한 행동을 해도 하나님 앞에 죄가 되고, 악한 행위가 된다.

 

선악은 결국 사람이 선택한다. 하나님이 주신 의지로 인생을 자기 것으로 삼으면 악이 되고 하나님의 보내신 예수님을 보고 그 모습이 내 인생의 목적이라고 순종하면 의롭게 된다.

 

그런 사람에게 어린 양, 곧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달려서 사람이 순종해야 하는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한 목적이자 하나님의 뜻을 보이신다. 사람이 보고서 돌이킬 수 있는 표상으로 예수님을 보이신 것이다. 사람이 어떤 존재여야 하는지를 예수님이 보이셨다. 그 모습이 나의 정체성이라고 믿는 사람은 선한 사람, 곧 하나님의 의에 합당한 사람이다.

 

그러므로 육신으로 나는 사람은 아직 개통되지 않은 휴대전화처럼 선악의 어떤 존재로 가늠할 수 없다. 하나님이 보시기에 심히 좋을 정도로 무한한 가능성의 존재다. 사람이 하나님이 주신 이성과 의지로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면,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살아 있는 생명이 되지만, 자기 인생이 자기 것인 양 자기 의지로 선악을 판단하며 살면 하나님 앞에 영원한 악인으로 남는다.

 

그리고 성경은 이 법에 관해 사람이 피할 수 없다고 했다. 예수님께서 오셨기 때문이라고 분명하게 말씀하시고 있다. 사람이 선택하고 순종해야 할 사람, 하나님의 말씀이 육신이 된 사람의 표상인 예수 그리스도가 오셨기 때문이다. 이는 작은 횡단보도에서 신호를 기다리며 서 있는 한 사람이 있으면 무단횡단하는 사람 모두가 죄인 되는 것과 같은 이치다.

 

내가 와서 저희에게 말하지 아니하였더면 죄가 없었으려니와 지금은 그 죄를 핑계할 수 없느니라 (요 15:22)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가 선하게 태어났는지, 아니면 악한 존재로 태어났는지를 고민할 필요가 없다. 그게 어느 것이라도 나를 구원하거나 나의 범죄를 핑계할 근거가 되지 않는다. 필요한 건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의 모습을 보고, 낮은 마음으로 다른 사람을 섬기는 게 본성이 되는 하나님의 생기로 거듭난 사람이 되는 것이다. 우리는 이걸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그게 순종이고, 구원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