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이 육신이 되어
예수님께서 신성과 인성을 가지셨다는 건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반신반인의 개념과 다르다. 그리스, 로마 신화 속 반신반인의 핵심적 정체성은 부모 중 신으로부터 물려받은 능력이다. 반면에 예수님이 하나님의 본체이자 우리와 같은 육신을 가졌다는 건 콜라가 콜라병에 담긴 것처럼, 전능자 하나님의 의이자 뜻인 말씀이 육신과 하나가 되었다는 의미다. 같은 목적의 내용과 형식이 하나가 된 상태다.
이런 예수님의 정체성은 육신을 가진 우리에게 중요하다. 우리 육신은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한다는 하나님의 뜻인 내용과 같은 목적을 가진 형식이다. 예수님은 육신은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신성을 표현하기 위해 창조되었다는 걸 보여주시려 우리와 같은 육신을 입고 오셨기에 신성과 인성을 모두 가진 분이다. 결국 우리는 그가 오신 목적대로 하나님의 말씀과 하나가 된 육신의 삶을 살아야 하는 게 존재다. 그것이 우리의 구원이고, 존재의 목적이다.
따라서 육신을 가진 우리로선 하나님의 본체인 예수님께서 육신으로 오신 게 너무너무 중요하다. 이는 하나님께서 우리 육신을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와 육신을 가진 우리 인생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설명한다. 왜 우리 몸이 하나님이 거하시는 성전이라고 하셨는지, 우리 몸을 거룩한 산 제사로 드리라고 했는지 분명해진다.
하나님은 우리 육신에 거하시기 위해 사람을 창조하셨고, 예수님은 그 하나님의 뜻을 몸소 보이시려 우리와 같은 육신으로 이 땅에 오신 것이다. 그래서 예수님은 말씀이 육신이 되신 분이라고 하신 것이다. 그건 우리 역시 하나님의 말씀이 육신이 되어야 하는 존재라는 의미다.
그렇다면 우리 역시 예수님이 신성과 인성을 모두 가졌다는 걸 이해하는 걸 넘어 예수님처럼 신성과 인성을 동시에 가진 존재가 되어야 한다. 하나님께서 나를 창조하셔서 인생을 주신 뜻, 사람을 창조하신 뜻이 내 안에 없는데 구원이 있을 수는 없으므로 그것이 구원이다. 창조주 하나님의 의와 뜻이 나의 본성이 되는 게 바로 구원이고, 그건 곧 내가 예수님처럼 신성과 인성이 하나 되는 것이다. 이걸 이해하지 못한다는 건 자기 안에 하나님의 말씀이 없는 것이다. 즉 구원이 없는 것이다.
예수님의 신성은 기적을 행하는 능력이 아니라 우리 육신의 삶으로 나타나야 하는 말씀이다.
만약 예수님께서 보여주시고자 하신 하나님의 뜻이 사람의 신성화, 즉 사람에게 죽은 사람을 살리는 능력을 주는 것이었다면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내려오셨을 것이다. 하지만 예수님께서 전하고자 하신 하나님의 뜻은 십자가를 지는 낮아지는 그리스도의 본능이다. 그 낮아지는 마음이 사람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신 하나님의 뜻이고, 우리가 가지길 바라셔서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신 이유다. 여기서 우리는 죽은 자를 살리는 능력보다 그 능력을 가진 하나님의 마음을 품는 게 더 큰 기적이고 능력이라는 걸 알아야 한다.
왜 십자가를 졌고, 왜 내려오지 못했나?
이제 우리는 여기서 아주 중요한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건 바로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내려올 수 없었던 이유다. 이 이유는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신 이유와 같다. 한 예수님께서 하나의 사건으로 표현하신 뜻이기에 같은 것이다. 이걸 중요하게 여기는 건 이 이유를 오해하면 신앙이 어긋나게 되면서 그럴듯해 보이지만 속은 이단인 신앙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기성교회에 지친 사람들이 여기에 쉽게 빠질 가능성이 높다.
십자가는 언급한 바와 같이 예수님의 신성과 인성 모두를 보여주는 사건이자 우리 신앙의 핵심적인 사건이다. 기독교는 이 십자가를 두고 그냥 단순하게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심으로 우리 죄가 사해졌다>라고 뇌까리는 게 구원의 증거라고 생각하고, 가르치고, 믿고 있다. 이건 아무 것도 해결할 수 없는데 모든 걸 해결한 듯한 표현이다. 더더욱 심각한 건 우리가 아는 거의 모든 교회가 이걸 교리로 채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예수님의 십자가는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복음이 복잡하냐? 그건 아니다. 나와의 상관성을 가볍게 여길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죄가 내가 짓고 벌은 예수님이 받는다는 식의 기독교 교리에서 십자가는 나와 이제는 상관없는 일이 된다. 친구가 대신 낸 차비는 더 이상 나와 상관성을 찾기 어려운 것과 같은 이치다. 그러나 십자가는 내가 지고 가야 하는 것이다.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신 이유와 내려오지 못한 이유가 내 안에, 내 본성이 되어야 그게 구원이고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을 따라가는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내려오지 못했다는 사실을 나와 같은 육신을 가졌기 때문이라는 데만 주목한다. 그러고는 육신의 연약함이라고 변명하는 자기 죄는 육신 때문이며, 이를 예수님도 십자가에서 내려오지 못하는 육신을 가졌다는 공통점에 대입해서 자기 실수나 부족함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신앙인들도 있다. 대표적으로 대구에 있는 대구교회(故, 이현래 목사 설립) 교인들이 그렇다.
물론 겉으로 보면 예수님께서 전하시는 복음은 육신을 가진 우리를 위한 것이다. 그래서 십자가에서 내려올 수 없는 육신을 가진 채로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은 육신을 가졌기 때문에 죽임을 당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렇게 육신이라는 게 십자가에서 내려오지 못한 가장 근원적 이유라면, 부활은 별개의 사건이 된다. 십자가에서 내려오지 못할 때는 오직 육신이라는 이유 때문이고, 부활할 때는 우리와 다른 육신이 되어야 한다. 그사이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는 설명할 수 없다.
하나님의 본체이신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내려오지 못한 이유를 육신이란 이유에 한정하는 건 반만 아는 것이다. 예수님은 나심부터 부활승천할 때까지 단 한 순간도 말씀이 육신이 된 정체성을 이탈한 적이 없다. 따라서 십자가를 지심도, 내려오지 못한 이유와 부활하시는 정체성까지 모두 하나님의 말씀이 육신이 된 그리스도라는 본성, 곧 신성과 인성이 하나된 사람으로서의 모습이라는 걸 잊으면 안 된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내려오지 못한 이유는 바로 그리스도이기 때문이다.
'김집사의 뜰 > 복음 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은 객관적 사실인가? (1) | 2025.03.22 |
---|---|
신성과 인성, 그 모호한 구분에 관하여 - 마지막 (0) | 2025.02.15 |
신성과 인성, 그 모호한 구분에 관하여 - 첫 번째 (0) | 2025.02.09 |
함부로 교회에 돌을 던지는 사람들 (0) | 2024.07.22 |
기적을 간증하는 사람들 (2) | 2024.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