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고 병든 것이 비정상, 안정되지 않는 상황을 말하는 것이라면, 그 반대는 정상적인 상황, 안정되고 평안한 상황이다. 그런 상황을 일반적으로 안식이라고 하고, 안식의 상징은 ’집‘이다. 여기서 한 가지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시고 ‘안식’하신 일도 상기해 볼 필요가 있다.
예수님께서는 중풍 병자를 죄가 사함받았다는 말씀하심으로 낫게 했다. 누가 생각해도 병을 낫게 하는 방법으로서 쉽게 이해되는 표현은 아니다. 그런데도 예수님께서 이것이 쉽다고 말씀하신 데는 이유가 있다. 병든 것은 죄와 사망 가운데 있는 사람의 모습이며, 예수님은 육신의 병을 고치시는 분이 아니라 죄를 사하시는 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서기관들과 유대인들이 죄를 사한다는 말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모르시는 것도 아니었다. 그들이 마음으로 참담하게 여긴다는 것도 다 아셨다. 그런데도 예수님은 ‘네 상을 들고 집으로 가라’는 상대적으로 일반상식적인 표현보다 죄를 사한다는 말이 더 쉽다고 했다. 더 쉽다는 건 더 적합하고 맞는 말이란 의미다.
서기관들과 유대인들의 반발을 아신 예수님께선 다시 “네 상을 들고 집으로 돌아가라”고 말씀하신다. 사람의 관점에선 더 쉬운 말일 수 있지만 예수님의 관점에선 더 어려운 말이라며 말씀하셨다. 그렇지만 이 말이 예수님께서 태도를 바꾼 걸 의미하진 않는다. 이건 안식이란 관점에서 같은 말이기 때문이다.
집으로 돌아간다는 건 안식을 얻는다는 말이고, 안식을 얻었다는 것은 죄가 없다는 말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존재에게 있어 안식은 자신의 존재 목적 안에 거하게 된 것을 의미한다. 존재는 존재 목적 안에 들어갈 때 안식을 얻는다. 어떤 일이든 목적대로 완료되면 쉴 수 있고, 일이 끝나고 안식할 수 있는 자리가 집이기 때문에 집이 안식인 것처럼.
죄는 자기 자리, 자기 정체성을 벗어난 것이다. 따라서 죄가 있으면 안식할 수 없다. 이상하고, 고장 나고 병든 건 쉴 수 없다. 자기 자리, 자기 본연의 존재 목적 상태를 벗어나면 안식을 누릴 수 없다. 학생이 수업 시간에 오락실이나 당구장에 있으면 불안한 이유다. 그러므로 자기 자리를 벗어난 죄인의 상태인 병자에게 집, 곧 안식으로 돌아가라는 말씀은 죄사함 받았다는 의미다.
사람들은 이 광경을 보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렸다. 그들은 우리가 이런 일을 도무지 보지 못했다고 했다. 그러나 이것은 병이 낫는 기적을 보지 못했다는 뜻이 아니다. 이미 이들(유대인들)은 예수님께서 귀신 들린 사람, 문둥병자 등을 치유하는 걸 봤다. 단순하게 병이 낫는 것을 두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 것이 아니다.
특히 우리는 하나님께서 무엇을 영광으로 여기시는지를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영광이란 말의 뜻을 생각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먼저는 만약 육신의 병이 치유되는 일을 하나님께서 영광으로 여기신다면 병이 나은 사람이 죽으면 그 영광은 물거품이 된다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이런 이치를 생각하고 성경을 봐야 한다.
그리고, 영광의 의미다. 영광은 헬라어로 ‘독사’(δόξα)‘라고 하는데, 생각하다, 나타나다 등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다는 마라은 하나님을 생각하게 하고, 하나님의 뜻이 나타났다는 의미다. 당연히 하나님이 원하시는 생각과 나타내고자 하시는 것이 나타나는 것이다.
그렇다면 하나님께서 아들을 이 땅에 보내어 나타내고자 하신 일을 생각하면 된다. 그것은 창조 목적을 떠나 죄 가운데 있는 사람의 죄를 사하시는 것이다. 즉 자기 자리를 떠난 죄에서 자기 자리로 돌아가는 안식이다. 죄인의 모습을 대변하는 병자가 죄사함을 받고 집이라는 안식으로 돌아가는 일이 하나님께서 나타내시고자 하는 하나님의 영광이다.
하나님의 영광은 하나님께서 정한 존재 목적을 떠난 사람이 창조 목적 안으로 들어가 안식을 얻는 것
중풍 병자가 고침을 받는 모습, 그것이 죄사함이자 안식이라는 예수님의 말씀에 사람들이 하나님께 영광을 돌렸다. 하나님께서 사람을 구원하시겠다는 뜻이 나타난 것이고, 죄 가운데 있는 사람의 모습인 병자가 회복되는 것을 보고 하나님께서 죄를 사하시고 사람을 안식에 이르게 하신다는 것이 나타났다. 그것이 하나님의 영광이다.
'평교인의 성경 보기 > 마가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가복음 2:18-22) 금식 논쟁 속 그리스도의 정체성 (0) | 2022.04.03 |
---|---|
(마가복음 2:13-17) 죄인을 부르기 위해 죄인이 되신 예수님 (0) | 2022.03.29 |
(마가복음 2:1-12) 중풍과 죄사함 (0) | 2022.03.24 |
(마가복음 2:1-12) 중풍 병자의 믿음 (0) | 2022.03.20 |
(마가복음 1:40-45) 문둥병자를 고치심 (0) | 2022.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