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5)

바나바와 결별 후 실라와 함께 전도 여행을 떠난 사도 바울은 생애 전반에서 아주 아끼고 아들처럼 여긴 디모데를 만난다. 디모데의 아버지는 헬라인이고 어머니(유니게)는 유대인이다. 이런 경우 유대인들은 이방인으로 간주한다. 그러니까 디모데는 이방인이다. 디모데가 바울과 함께 전도 여행을 떠나려 하니 그 지경에 있던 유대인들이 그에게 할례를 행했다고 했다. 불과 얼마 전 예루살렘 회의에서 이방인에게 할례와 같은 율법을 강요하지 않기로 했었는데 왜 이런 일이 있었을까?

 

바울 사도가 디모데가 할례받는 일에 특별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는 건 용인했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리고 이어지는 말씀에서 예루살렘 교회와 사도들이 정한 규례를 그 지경의 교회와 성도들에게 지키도록 했다고 했다. 그 결과 여러 교회가 믿음이 더 굳건해지고 믿는 사람의 수가 늘어났다. 행함으로 의로워지는 게 아니라고 전하는 바울 사도가 여러 규례를 지켰더니 복음이 왕성해졌다는 말씀인데, 그렇다면 바울 사도가 신념을 바꾼 것일까?

 

우리는 이 말씀에서 할례를 <행했다>라는 행위와 규례를 <지키게 했다>라는 행위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다분히 행위로 의로워지려는 습성의 유산이다. 또 한편으로 복음은 어떤 규례나 율법을 지키지 않아도 된다는 자유를 준다는 막연한 생각이 디모데가 할례받은 일을 의아하게 생각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런 어색함은 모두 복음을 모르거나 미성숙함에 기인한 것이지 복음이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진리기 때문인 건 아니다. 당연히 바울 사도 역시 태도를 바꾼 게 아니다.

 

행위로 의로워지려는 신앙의 안목으로 보면 여러모로 이상한 성경

 

먼저 왜 디모데는 할례를 받았는지를 생각해 보자. 디모데는 모계가 유대인이기 때문이라는 의견들이 있는데 그건 작은 가지일 뿐이다. 율법이나 신약 성경을 행위로 지켜 의로워지려는 신앙은 마치 불기둥과 구름 기둥을 따라가는 출애굽 행렬처럼 아주 경직되어 있다. 말씀을 지키면 안전하고, 지키지 않으면 하나님께 벌을 받는 단순한 구조다. 아주 기계적인 셈이다. 철학적 관점에서 이를 이원론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복음은 거듭난 생명의 세계이므로 생명처럼 유연하다. 생명은 같은 상황에서 여러 가지 반응을 보일 수 있다. 디모데가 율법의 행위라고 인식되는 할례를 받은 건 생명의 유연함 때문이다. 생명은 유전자가 같아도 반응이 다를 수 있다. 앞서 이야기해 본 바울과 바나바의 다툼도 같은 경우다. 그리스도라는 하나의 생명을 가졌기에 둘이 마가에 대한 견해가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로 거듭난 생명은 이래도 되고 저래도 된다. 거듭나지 않은 사람들의 신앙 세계에서는 세상에서 성공하는 게 하나님께 영광이지만, 복음 안에서는 부유할 수도 있고 궁핍에 처할 수도 있다. <생명>으로 나면 이렇게 된다. 이건 생명으로 난 사람에겐 보이지만, 행위로 율법과 성경을 지켜 의로워지려는 신앙 안에서 보면 디모데가 할례받은 일은 맞거나 틀리거나 해야 하는 일로 보인다. 그래서 이런 걸 연구한다. 신학이 얼마나 불의한 것인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복음은 그리스도의 생명인 만큼 생명의 유연함을 가지고 있어…

 

그렇다고 복음이 줏대 없이 이랬다저랬다 하는 건 아니다. 그리스도의 생명으로 거듭나는 복음은 생명의 법을 따른다. 생명은 어떤 순간에도 자기 DNA를 표현하고 유지하고 지키려고 한다. 그리스도라는 생명도 그렇다. 다만 그 표현은 생명의 개체마다 다르다. 그리스도로 거듭난 생명 역시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기 위해 가진 모든 본성을 다한다.

 

이는 신념을 가지고 노력하고 열심인 신앙과 다르다. 노력과 신념은 부족한 걸 메우기 위한 행위지만, 본성에 따르는 건 자기 안에 이미 있는 본성 모두를 쏟아붓는다. 호랑이 무늬가 다 달라도 언제나 호랑이라는 본성으로 최선을 다하는 것과 같다. 행위로 율법과 성경을 지켜 의로워지려는 신앙의 안목으로 보면 할례를 받거나 받지 않는 둘 중 하나만이 의로운 선택이지만, 그리스도의 본성은 받아도 되고 안 받아도 된다는 사고를 참으로 받아들이는 본성은 그리스도의 본성이다.

 

이 유연함은 아주 자유롭다. 할례를 받아도, 안 받아도 된다는 건 구속되지 않는 자유다. 그런데 이 자유는 아주 남용되기도 한다. 복음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자유는 영지주의로까지 브레이크 없이 내달릴 수도 있다. 그러나 행위로 의로워지는 게 아니라는 말에 합당한 존재가 되지 않았는데 자기 임의로 신앙의 규례를 폐하면 안 된다.

 

예루살렘 교회가 이방인의 교회에 지키라고 권면한 규례(16:4)는 할례를 받으라든가, 돼지고기를 먹지 말라는 것과 같은 게 아니다. 우상의 더러운 것과 음행과 목매어 죽인 것과 피를 멀리하라는 것이었다. 우상이라고 하니 조각한 돌이나 나무에 절하는 것만을 생각하겠지만, 세상에서 성공하겠다는 사람의 욕망을 실현 시킬 대상으로 하나님을 섬긴다면 그건 하나님을 모욕하는 것이자 자기의 우상을 섬기는 것이다.

 

또한 음행은 자기 짝이 아닌 것과 짝하는 것이니 하나님이 정한 인생의 목적 아닌 걸 인생의 목적과 내용으로 삼는 것이고, 목을 매는 건 머리와 몸을 분리하는 것이니 중풍처럼 하나님의 의가 행위를 주관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고, 피는 생명이 함부로 범하지 말라는 말씀이다.

 

거듭난 생명의 본성으로 지키는 하나님의 의는 율법의 완성, 행위로 지키는 율법은 폐기

 

말로 표현한 규례는 같아 보이지만 그 내막은 이렇게 다르다. 그러므로 규례는 함부로 폐기하면 안 된다. 예수님께서 율법을 폐하러 오셨다고 한 건, 율법의 완성인 복음을 주셨기 때문에 기존의 개념이 폐기되었다는 의미다. 그리스도로 거듭나면 율법대로 살 수밖에 없는 존재가 되는 완성이 성취되므로 행위로 지켜내려는 노력으로 관철된 율법이 폐기되었다는 것이지 율법 자체를 폐기하는 게 아니다.

 

그러므로 나의 신앙이 얼마나 유연한지를 반추해 본다면 내가 생명의 법에 따라 살고 있는지, 아니면 벗어나면 안 되는 불기둥, 구름 기둥을 따라가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디모데가 할례받는 일은 이례적인 일이 아니라 지극히 복음적이다. 이게 그렇게 보이지 않으면 자기 신앙을 돌아봐야 한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