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을 향한 진정한 핍박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에스더 Date : 2025. 1. 31. 22:29 Writer : 김홍덕

모르드개가 하만에게 절하지 않은 행동은 작은 일이 아니었다. 하만은 그가 유대인이라는 사실을 빌미로 모든 유대인을 죽이려고 했다. 연좌제도 이런 연좌제가 없다. 그래서 이건 그저 옛날에는 있을 법한 이야기 같지만 그렇지 않다. 왕의 권세를 훔친 하만의 모습은 곧 하나님께서 주신 삶을 자기 것으로 여기는 사람의 모습으로 하만의 핍박은 하나님을 찬양하는 사람을 향한 인생을 자기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의 태도이자 핍박이다.

 

우선 삶을 자기 것으로 여긴 사람은 세상의 가치를 따른다. 세상 높은 자리에 오르려고 노력하고, 이를 위해서 신을 찾는다. 심지어 사회적 약속인 규범과 법을 어기면서 그 자리에 오르려 한다. 자기를 부유하고 평안하게 그리고 살찌우려는 의도의 저변은 인생은 자기 것이라는 생각이 있다. 인생이 자기 소유가 아니라 청지기처럼 맡은 것일 뿐이라는 걸 안다면 그렇게 자기를 위한 삶을 살지 않는다.

 

성경에는 하나님을 믿고 사랑하는 사람은 늘 세상의 핍박을 받는다는 말씀이 아주 많다. 많은 기독교인은 이걸 오해한다. 예를 들어 회사에 바쁜 일이 있어 다른 직원들은 일요일에 출근해서 일하는데 주일 예배 드려야 한다며 동참하지 않는 상황에서 받는 직원들의 눈치 같은 걸 성경이 말하는 믿는 사람에 대한 세상의 핍박이라고 생각한다. 이게 완전히 괄호 밖 이야기는 아니지만 성경의 의도는 이와 다르다.

 

성경이 말씀하시는 유대인 곧 하나님을 찬양하는 사람을 향한 세상의 조롱과 손가락질 그리고 핍박은 가치관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세상은 모두 높은 곳을 향해 달려가는데 하나님을 찬양하는 사람은 낮고 천한 십자가로 가기 때문이다. "그렇게 세상을 살면 패배자가 될 것"이라는 걱정과 조롱과 우려 모두가 성경이 말하는 하나님의 자녀를 향한 세상의 핍박이다.

 

진정한 핍박과 조롱은 가치를 뺏고 조롱하는 것

 

하만은 유대인들을 죽이려 했다. 지금은 일부 극단적인 이슬람 국가를 제외하면 그때처럼 목숨을 빼앗는 경우는 드물다. 사람에게 육신의 목숨이 중요하긴 하지만 삶의 가치를 육신의 목숨에 한정하지 않는 게 사람이다. 부모에게는 자식이 자기 목숨보다 귀하다. 결국 핍박의 극한은 가치를 빼앗는 것이다. 십자가를 지는 것이 인생의 의미와 목적인 사람에게 십자가를 모욕하는 게 핍박의 본질이다.

 

그렇다면 세상은 십자가가 귀하지 않은 사람을 핍박하지 않는다. 앞서 예로 든 일요일 특근의 경우 주일을 지키겠다는 교인을 비난하는 건 주일 성수를 하겠다는 사람은 세상의 경쟁을 편하게 하려는 얌체처럼 보이기 때문이지, 다들 특근하는데 교회 가는 사람이 낮아지는 삶이라서 비난하는 게 아니다. 그걸 핍박으로 생각하는 건 기독교인들의 정신 승리일 뿐이다.

 

오히려 십일조 드리지 않으면 세상에서 실패할 것이란 설교가 성경이 말씀하시는 핍박이다. 여기서 실패는 세상이 모두 추구하는 성공과 부유함을 얻지 못할 거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낮아짐을 실패로 보고 있다. 하나님은 낮고 천한 십자가를 영광으로 여기는데 세상과 세상 가치를 영광으로 여기는 기독교인들은 높아짐을 영광으로 믿고 낮아짐을 경계하고 터부시하니 그것이 핍박이다.

 

하만이 핍박한 유대인은 그리스도인으로 충분히 치환할 수 있다. 그리스도인은 공중 권세 잡은 자에게 절하지 않는다. 세상이 영광스럽게 여기는 가치를 추구하지 않는다. 여기서 말하는 그리스도인은 교회에 다니는 사람, 교회에 열심히 다니는 사람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리스도라는 생명 본성으로 거듭난 사람을 말한다. 노력으로 성경을 지키려는 사람은 여기 해당하지 않는다. 본성과 노력은 근원이 다르다.

 

세상이 너희를 미워하면 너희보다 먼저 나를 미워한 줄을 알라 너희가 세상에 속하였으면 세상이 자기의 것을 사랑할 터이나 너희는 세상에 속한 자가 아니요 도리어 세상에서 나의 택함을 입은 자인고로 세상이 너희를 미워하느니라 (요 15:18-19)

 

일제 강점기나 현재의 아랍권에서나 있을 법한 신앙에 대한 핍박은 당연히 하나님을 믿는 사람에게 큰 위험이다. 그러나 그것 혹은 그런 강도의 핍박이 핍박의 전부는 아니다. 서서히 끓는 물 속의 개구리처럼 일상에 있는데 핍박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핍박과 유혹은 일종의 배신과 같아서 아주 치명적이다. 세상에서 성공하고 평안하게 살면 사람들이 하나님의 영광으로 여겨 본받을 거라는 그럴듯한 말은 낮고 천한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을 따라가야 하는 인생에게 진정한 시험이고 핍박이다.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은 절에 가서 불상에 절하지 않고, 초상집에 가서 영정에 절하지 않는 것을 하만에게 절하지 않은 모르드개와 같은 신앙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하나님의 이름을 빌려서라도 세상에서 성공하려는 신앙, 세상에서 성공하는 게 하나님께 영광이라는 신앙을 추구하는 것 자체가 낮고 천한 십자가를 지신 예수님을 다시 십자가에 못 박는 것이고, 유대인과 그리스도인을 핍박하는 것이다.

 

세상의 성공과 귀한 게 하나님께도 귀하다고 생각하면서 비싼 악기와 재료로 예배드리고 교회를 건축하는 신앙을 가지고 있으면서 나는 우상이나 세상에 절하지 않는 사람이라 생각하는 건 명백한 착각이다. 더욱이 그런 착각은 자신만 망하게 하는 게 아니라 그리스도를 다시 십자가에 못 박는 것이고, 예수를 핍박하는 것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