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가 끝나고 가장 먼저 한 것은 제사


홍수가 끝나고 나서 노아가 가장 먼저 한 일은 제사(창 8:20)를 드린 일이다. 노아는 방주에 있던 정한 짐승과 새로 번제를 드렸다고 했다. 이것이 노아가 하나님 앞에 의인으로 여김을 받는 이유이기도 하지만, 개인의 신앙에서 본다면 이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을 만나서 자신이 세상의 것으로는 자신의 정체성을 채울 수 없다는 고백을 한 사람이 고백 다음에 하는 것은 하나님께 자신을 드리는 것이 당연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세례 따로 제사 따로가 아니라는 것이다.



Noah offering sacrifice
Noah offering sacrifice by Lawrence OP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수동 운전을 배울 때 가장 핵심은 등반이다. 미끄러지지 않게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면서 바로 악셀을 밟아야 하는 것이다. 이것은 분리된 것이 아니다. 동작이 다르다고 다른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등반이라는 것은 이 두가지 하나로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세례와 제사는 같은 연장선 상에 있는 것이다. 세례를 받은 사람이 하나님께 자신의 삶을 드리지 않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분리되어 있지만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몸을 산 제사로 드린다는 것


사람들은 제사를 하나님께 자신을 바치는 것이라는 것이라 알고 있다. 그렇다면 사람을 하나님께 바치는 것은 어떤 것일까? 사람을 죽여서 제단에서 불 태워야 제사인가? 차마 그렇게 하지 못하니 소를 대신해서 드리는 것인가? 그런 것이 아니다.


하나님께서 사람의 몸을 원하신다. 몸을 원하신다는 것은 하나님은 영이시기 때문에 그 존재감을 표현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하나님의 존재와 또한 성품을 표현할 형체가 필요하신 분이다.


로마서 12장에서 바울 사도는 <"너희 몸을 산 제사로 드리라">고 했는데, 우리의 몸을 산 제사로 드린다는 것은 우리의 몸이 하나님의 존재와 성품을 표현하는 삶을 살아라는 것이다. 즉 영이신 하나님의 형상이 되어라는 것이다. 그것이 제사이고 사람을 만드신 목적인 것이다.


제사라는 것은 그런 것이다. 하나님께서 사람을 통하여 그 성품과 존재를 드러내실 수 있게 우리가 하나님께 자아를 개방하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회개고 회개의 증거가 세례이며, 세례를 받고 제사로 드려진 상태를 구원이라고 하는 것이다




하나님이 채워지는 성전인 질그릇 같은 사람


사람은 늘 뭔가를 하려하고 자기 안에 무엇이라도 채우려 한다. 하다 못해 감각적 유희라도 채우려 한다. 그것은 사람은 그릇과 같이 속이 비었고 무언가를 채워야 하는 존재이다. 그것을 우리는 갈급함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래서 바울 사도는 질그릇 같다고 한 것이다.


예전에 태권도를 하는 로봇인 로보트 태권브이라는 만화영화가 있었다. 그 태권브이가 태권도를 하는 로봇이 되기 위해서 그 안에 태권소년 훈이와 태권 소녀 영희가 탑승할 수 있는 자리가 있고, 반드시 훈이와 영희가 탑승을 해야 비로서 <태권>브이가 되는 것 처럼,



로보트 태권브이
로보트 태권브이 by Steven Ha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태권브이는 태권소년 훈이가 조정해서 태권브이가 된다>


사람도 사람을 하나님께서 만드실 때에 하나님이 거하시는 성전으로 지으셨고, 그렇게 하나님께서 거하심으로 창조의 목적인 하나님의 성품이 표현되는 존재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바울 사도가 산제사로 드리라 했고, 또한 우리가 하나님의 성전이라고 한 것이다.


즉 사람의 끝 없는 갈급함은 하나님의 성품이 채워져야 비로서 해갈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자기 안에서 그치지 않는 갈급함을 학문과 부와 명예와 쾌락으로 채우려 하는 것이다. 그것은 홍수가 난 물을 마시는 것이고 바닷물을 마시는 것이다.


그렇게 세상의 것으로 자아 정체성을 채우는 것은 세상의 것이 좋아 보이기 때문이다. 마치 하나님의 아들들이 사람의 딸들의 아름다움을 보고 아내로 삼았던 것과 같은 것이다. 그것은 위대함을 낳고 넘쳐나는 물을 만들었지만 그것은 우리를 살리는 것이 아니라 죽이는 것이다.


즉 육신으로 목숨이 살아 있다고 해도, 하나님의 목적 안에서 보면 가지 않는 시계와 같은 존재일 뿐이다. 바로 그런 상태에서 살 수 없다고 고백하는 것이 세례이다. 즉 넘쳐나는 물과 같은 세상의 학문과 철학과 부와 명예와 쾌락으로는 인간으로서의 정체성이 채워지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세례인 것이다.


바로 그것을 알게 하시는 말씀이 노아의 홍수에 관한 말씀인 것이다. 그리고 그 홍수에서 피할 수 있는 방주가 교회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세상에서 성공하고 화려하고 좋은 건축자재가 필요한 곳이 아니라, 부정한 상태로도 늘 홍수를 피할 수 있을 때 비로서 교회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홍수가 끝나고 노아가 제사를 드렸다는 것은 세상의 것으로 살 수 없다는 고백이 있는 사람은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는 삶을 살게 된다는 것이다. 그것이 제사를 드렸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되었을 때 비로서 노아의 홍수를 믿는 신앙이 되는 것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