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가 끝나고 하나님께서는 노아에게 더 이상 이런 홍수가 없을 것이라는 언약으로 구름 속에 무지개를 두셨다고 하셨다. 다시 말해서 더 이상은 물로 심판하는 것이 없을 것이라는 말씀을 하신 것이다.
Rainbow Guard by linh.ngan |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의 발을 씻기실 때 베드로와의 대화를 통해 하나님께서 노아에게 하신 언약을 다시 말씀 하신다. 이것은 홍수는 물로 죄를 씻는 세례를 예표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번 물세례를 받은 사람은 더 이상 씻지 않아도 된 된다고 하신 말씀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하나님께서는 홍수 이후에 더 이상 홍수가 없을 것이라고 하셨다는 것은 자신이 홍수와 같은 세상에서 살 수 없다는 고백이 있는 사람은 다시 물세례를 받지 않는다는 것을 하나님께서 무지개를 통해서 언약하신 것이다.
하지만 그냥 의식으로서의 세례나 침례를 받았다고 그렇게 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진정한 고백이기 때문에, 자기 안에서 부인할 수 없는 것으로 남아 있어야 하는 것이다. 즉 자신이 하나님 앞에서 홍수와 같은 과정을 겪은 물세례의 과정이 있었다는 것을 아무리 부인하려 해도 부인할 수 없는 사람이어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그 증거가 무지개인가?
우선 무지개는 빛이다. 무지개는 빛의 여러가지 빛깔로 나타나는 것이다. 그것이 무지개다. 즉 빛이 7가지 색상으로 아니 정확하게는 빨간색에서 보라색 사이를 그라데이션 하듯 연속적으로 변하는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이 무지개다.
무지개는 빛이 여러가지 빛깔로 분산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무지개가 더 이상 물심판이 없는 증거로 자리한 사람의 특징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다양성이다. 빛은 우리가 아는대로 하나님의 말씀이다. 천지창조도 빛이 있으라 하심에서 시작된다. 이 빛은 인식이다. 빛이 있어야 어떤 것이라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주신 빛은 그 빛이 있어야 하나님이 인식되고 믿어지는 세계인 것이다. 그것이 빛이고 그것이 하나님의 세계가 시작되는 창세기인 것이다.
그런 빛이 여러가지 연속된 빛깔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무지개를 물심판이 없을 것이라는 증거로 주셨다는 것은 홍수와 같은 세상의 학문이나 모든 것으로 살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은 사람이 존재의 신이신 하나님의 세계가 열리는 것이 빛이고 그 빛이 단순히 하나가 아니라 아주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이다.
무지개는 하나님을 표현하는 것이 다양하다는 것을 보여 주시는 것
하나님은 빛이시다. 그런 빛이 다양하게 표현된다는 것은 하나님의 다양성을 표현하는 것이다. 즉 하나님께서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되는 것 그것이 바로 물심판이 다시 없을 것이라는 약속의 증거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이런 분이다." 규정하는 것은 다시 물심판이 있는 상태라는 것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하나님을 아무렇게나 표현해도 된다는 말인가? 그것은 그렇지 않다. 일단 빛이어야 한다. 무지개는 잡다하게 다양한 것이 아니라, 빛이 다양하게 표현된 것이다.
빛은 모든 것의 인식이고 시작이다. 빛이 없으면 사람은 어떤 형체도 인식할 수 없다. 최전방 초소에 가면 바로 앞사람 모습도 안보일 정도로 어둡기도 하다. 바로 팔만 펴면 있는 사람도 안 보인다. 그렇게 빛이 없으면 아무 것도 인식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이라는 빛이 없다면 인생이 무엇인지도 안 보이고, 하나님이 누구신지, 그리스도는 또 누구신지, 교회는 무엇인지, 또 나는 누구인지 전혀 알 수 없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빛의 정체이다.
그런 빛이 다양하게 표현된 것이 무지개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다양성을 나타내는 무지개를 더 이상 물심판이 없는 사람의 증거로 주셨다는 것은, 온전한 세례를 거친 사람은 하나님을 정형화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동성애자들이 무지개를 다양성이라는 의미에서 그들을 상징하는 깃발로 사용하는데, 그것은 오류가 있다. 왜냐하면 인생의 정체를 밝히는 빛이 다양하게 표현된 것이 무지개지, 기준도 없이 무조건 다양성을 인정하자는 것이 무지개가 아니기 때문이다.
하나님이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는 것은 하나님이 영이시라는 것에 대한 믿음이 있어야 한다. 효를 다루는 것에 있어서 심청전이라는 표현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듯이, 영이신 하나님이 다양한 삶의 형태를 가진 사람들을 통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 다양성이다.
즉 하나님은 영이시기 때문에 회전하는 그림자도 없으신, 그러니까 어떤 형태로도 규정되지 않는 분이시기에 다양한 사람들의 모습과 삶을 통해서 표현되실 수 있고, 그것이 또한 하나님과 사람의 관계이기도 한 것이다.
바로 그런 관계에 대하여 알게 되었다는 것이 세례를 받은 사람이라는 증거라는 의미가 바로 무지개를 주신 의미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진정한 세례를 거친 사람은 단 하나의 기준으로 가지고 사람이 살아가는 모습이나 형태를 심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바로 그럴수 있다는 것이 무지개의 증거를 받은 사람의 모습이다.
'평교인의 성경 보기 > 창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벨탑 (2) (0) | 2014.08.04 |
---|---|
바벨탑 (1) (0) | 2014.08.04 |
노아의 홍수 (17) - 홍수가 끝나고 제사를 드리다 (0) | 2014.07.18 |
노아의 홍수 (16) - 죽었다는 것과 살았다는 것 (0) | 2014.07.17 |
노아의 홍수 (15) - 홍수의 핵심 (0) | 2014.07.17 |